지방화에 따른 지역environment(환경) 정책의 발전방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8 21:22
본문
Download : 지방화에 따른 지역환경정책의 발전방향.hwp
매립장의 건립과 더불어 쓰레기 감량화에 커다란 도움을 줄 수 있는 소각장 및 재활용 처리시설의 확대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매립, 소각, 재활용의 3가지 방법 중에서 상대적 비율이 낮은 소각 및 재활용의 비율을 2000년대까지 높여가야 한다. 이러한 잔여 용량으로는 약 145일간 밖에 처리할 수가 없어서 새로운 매립지의 건설이 시급한 상태이다. 이에 경기도는 현재 보유하고있는 매립면적과 같은 20개의 매립장 조성계획을 가지고 있으나 구체화되지는 않았다. 1992년 현재 경기도는 13개시,군이 45개의 매립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총 매립용량은 11,554,742m3이고 이미 9,886,880m3이 매립되었으며 남은 잔여 매립용량은 1,667,862m3이다. <표-3>에서와 같이, 한 연구보고서에서는 2001년에는 일반 폐기물 중 생활폐기물의 매립을 47%로 줄이고 소각 및 재활용을 32.2%와 20.8%로 확대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경기도, 1993).
…(省略)
지방화에 따른 지역environment(환경) 정책의 발전방향
지방화에따른지역environment(환경)
설명
다.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지방화에 따른 지역환경정책의 발전방향지방화에따른지역환경 , 지방화에 따른 지역환경정책의 발전방향인문사회레포트 ,
지방화에 따른 지역environment(환경) 정책의 발전방향
Download : 지방화에 따른 지역환경정책의 발전방향.hwp( 90 )
,인문사회,레포트
Ⅰ. 서 론 1
Ⅱ. 경기도 폐기물 관리시설의 present condition 2
Ⅲ. 지역environment정책수립의 방향 5
1. 감량화 8
2. 자원화 6
3. 처리의 적정화 8
Ⅳ. 결 론 11
이러한 매립지는 크게 두 가지 problem(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매립지는 주민혐오시설로서 매립지 확보 및 선정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는 문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