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가요의 정서적 측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3 01:32
본문
Download : 고려가요의 정서적 측면.hwp
《고려가요의정서적측면》 , 고려가요의 정서적 측면인문사회레포트 ,
《고려가요의정서적측면》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고려가요의 정서적 측면.hwp( 56 )
2. 자세한 말
2.1. 정석가(鄭石歌) - 작자미상
므쇠로 한쇼를 디여다가 구스리 바회예 디신달
므쇠로 한쇼를 디여다가 구스리 바회예 디신달
鐵樹山에 노호이다 긴힛단 그츠리잇가
그 쇼ㅣ 鐵草를 머거아 즈믄 해랄 외오곰 녀신달
그 쇼ㅣ 鐵草를 머거아 즈믄 해랄 외오곰 녀신달
有德하신 님 여해아와지이다 信잇단 그츠리잇가
이 노래는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해서 임과의 사랑이 영원하기를 바라며 태평성대를 기원하고 있다 대부분의 고려 가요가 이별이나 애원 또는 향락의 정서를 노래하고 있는 데 반해 이 노래는 영원한 사랑을 주제로 있는 것이 특색이고, 완곡한 어법으로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하여 사랑의 절실함을 표현하고 있다
2.2. 정과정(鄭瓜亭) - 정서
내 님믈 그리자와 우니다니 殘月曉星이 아라시리이다
山 졉동새 난 이슷하요이다 넉시라도 님은 한데 녀져라 아으
아니시며 거츠르신 달 아으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이 노래는 한글로 전하는 고려 가요 가운데 작가나 내용이 가장 분명한 유일한 작품이다.
고려가요의 정서적 측면에 대한 글입니다.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고려가요의 정서적 측면
설명
고려가요의 정서적 측면에 대한 글입니다. 그래서 후대에 정철의 <사미인곡>, <속미인곡> 같은 연주지사…(省略)



다.
임금을 그리워하며 슬픔에 젖어 있는 심정을 노래하고 비록 몸은 떨어져 있지만 마음만은 임금과 함께하며 임에 대한 사랑을 드러내면서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며 임금께서 다시 자신을 사랑해 주기를 간절히 호소하고 있다 또한 이 노래는 유배지에서 신하가 임금을 그리워하는 정을 절실하고 애달프게 노래하였다 하여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로 널리 알려졌으며 그 때문에 궁중의 속악 악장으로 채택되어 기녀(妓女)는 물론 사대부간에도 학습의 대상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