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프로그래밍history(역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05:26
본문
Download : 컴퓨터프로그래밍역사.hwp
2. 어셈블리 언어의 등장
쉬운 생산적인 방법을 찾다가 발견된 것이 기계어 OP 코드를 쉬운 약자로 바꾸는 것이다.
기계어는 호로그램을 작성하는 특정 컴퓨터에 한정된 언어이다. 8비트로 묶인 그룹을 바이트(byte)라고 하고, 4비트는 니블(nibble)이라고 한다.
존 폰 노이만의 발견: 엔지니어가 컴퓨터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stored program이라하는 명령어들이 메모리에 저장되기 스타트했다.
컴퓨터는 ‘이진수’ 즉 0과1만 이해할 수 있다
컴퓨터는 0과 1 두 숫자만 사용하기 때문에 이진수 시스템을 선호한다.




컴퓨터프로그래밍history(역사)
컴퓨터프로그래밍history(역사)
컴퓨터프로그래밍역사,공학기술,레포트
Download : 컴퓨터프로그래밍역사.hwp( 11 )
순서
컴퓨터프로그래밍역사 , 컴퓨터프로그래밍역사공학기술레포트 , 컴퓨터프로그래밍역사
설명
레포트/공학기술
REPORT
김승민
컴퓨터 프로그래밍 歷史(역사)
컴퓨터프로그래밍 歷史(역사)는 1960년대에 스타트되어서 플러그 선을 보드 잭에 꽃아 사용했다.
단점- OP코드에서 간단했던 것들이 어셈블러 언어에서는 더 많은 명령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어셈블리 언어는 특정 컴퓨터의 중앙 처리 장치(CPU)에 한정 되었다.
보드는 컴퓨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로 명령을 결정했다. 직후 프로그래밍 기술이 생김.
1. 최초의 프로그래밍 언어, 기계어
최초의 컴퓨터 호로그램은 기계어로 작성되었다. 즉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의 이동이 불가능 하였다. 예를 들어)C3 B8 0B라는 코드는 JUMP 3000 JUMP는 C3에 대한 연상기호이다.
초창기의 컴퓨터 메모리 명령은 8비트 또는 16비트 명령을 사용해 설계함.
8진수는 이진 비트를 3비트씩 묶는 것이고, 16진수는 4비트씩 묶는 것이다.
3. 가상 기계어와 인터프리터 개발
가상기계어: 모든 컴퓨터에 동일한 통합 연상 기호를 만드는 것이 목적인 가상 기계어를 1950년대 컴퓨터 프로그래머들이 만들게 된다
가상기계어의 장점(長點): 동일한 호로그램을 다른 기종의 컴퓨…(省略)
다.
기계어 명령의 각 OP코드에 대 한 다른 연상 기호도 만들었는데 이런 연상기호를 통틀어 어셈블리 언어라 한다.
어셈블러의 장점(長點)- OP 코드보다 기억하기가 휠씬 쉽다.